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북한 미사일,북한 순항 미사일발사,북한 장거리 순항 미사일

by 해피달고나 2021. 9. 13.
반응형

 

《북한 장거리 순항 미사일 시험발사》

북한이 11일과 12일 이틀 동안 장거리 신형순항미사일을 시험 발사했다고 발표했지만, 한국과 미국에서는 이 것을 파악하지 못했다고 정부 소식통이 13일 밝혔습니다.

 

북한은 조선중앙통신을 통하여 국방과학원이 어제와 그제 이틀 동안 이번에 새롭게 개발한 신형 장거리 순항미사일 시험발사에 성공하게 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발사된 신형장거리순항미사일이 설정된 비행궤도를 따라 7천580초로 약 2시간 6분을 비행했다고도 전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번 시험발사를 통하여 새로 개발한 타빈송풍식 발동기의 추진력과 미사일의 비행 조종성 및 유도 명중 정확성을 모두 만족시켰다고 자평했다고 합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번에 실시한 시험발사가 적대 세력을 강력하게 제압하고 또 하나의 효과적인 억제 수단을 보유하게 되는 전략적 의의를 가진다고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북한이 그동안 발사해온 탄도미사일과 순항미사일은 완전히 다른 미사일이라고 합니다. 탄도미사일은 마치 우주선을 쏘아 올리듯이 공중을 향해 쏘아 올리면 미사일이 포물선의 궤적을 그리며 목표물을 향해 날아가는 형태지만 순항미사일은 궤적을 그리지 않고 미사일 자체에 탑재된 엔진의 기동을 이용하여 일자로 날아가 목표물을 타격하게 되는 형태의 미사일로 속도와 고도도 일정하게 유지가 가능하고 정밀한 타격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고 합니다.

 

 

북한이 밝힌 순항 미사일의 거리는 1천500킬로 미터 밖 표적도 명중했다고 전했습니다. 만약 보도가 사실이면 북한 전역에서 한반도 전역은 물론 중국의 베이징과 일본의 도쿄까지 사정권 안에 들어가게 되는 거리입니다. 공개된 사진에 따르면 신형순항미사일의 겉모습은 미국의 순항미사일인 토마호크와 매우 흡사하다고 합니다. 정말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면 정말 위협적이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그렇지만 어디에서, 어디로 발사를 했는지에 대해 그리고 미사일의 제원은 무엇인지는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고 있습니다.

 

우리 군당국의 공식 입장으로는 한국과 미국의 정보당국 간에 긴밀한 공조 하에 정밀 분석 중이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군 관계자는 더 얘기해줄 게 없다고 하면서 말을 아꼈습니다.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해 주셨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이에 대해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이번엔 사전 탐지에도 실패했고, 사후 탐지에도 실패를 했다면서 현재 군 당국과 정보 당국이 크게 당황하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정부 소식통의 말대로라면 한국과 미국은 북한이 이동식 미사일발사대에서 신형순항미사일을 발사되는 순간을 놓치고 이후에 어떻게 비행하여 어디로 떨어졌는지도 모른다는 뜻입니다. 군 당국에서 사전 탐지를 실패했다는 것에 대해서 심히 우려가 되는 상황이 아닐 수가 없습니다.


순항미사일은 낮은 고도를 스치듯이 날아가기 때문에 사전에 정보가 없게 되면 레이더로 포착하기가 쉽지 않다고 합니다. 언제 어디로 발사가 되는지 확인이 되지 않는다면 더욱 위험한 상황이 되지 않을까 생각하는데 순항미사일을 포착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고안할 수 없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지난 1월 22일과 3월 21일 순항미사일에 이어 같은 달 25일 탄도미사일 등 올해 들어 벌써 네 번째입니다. 

 


북한은 한국과 미국의 연합 군사훈련 기간 중이었던 지난달 광복절쯤 해서 미사일 발사를 시도하려다 그만둔 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북한은 지난달 15일 에서 19일 동해 동북방 해역 일대에 미사일 발사와 관련한 항행구역경보를 발령하기도 했습니다.

그렇지만 실제로 미사일 도발로는 이어지진 않았습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당시 북한 지역의 기상여건이 좋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어떤 의도로 계속해서 발사 시험을 하고 새로운 미사일들을 개발하는지 너무 걱정이 됩니다. 이런 기사가 나올 때마다 심장이 내려앉는 기분입니다. 부디 지금처럼 평화롭게 지낼 수 있기를 바래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