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노벨 의학상,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데이비드 줄리어스,아르뎀 파타푸티안,노벨 생리의학상,2021 노벨상

by 해피달고나 2021. 10. 5.
반응형

 

 

2021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올해의 노벨 생리의학상에는 온도와 촉각의 수용체를 발견하게 된 데이비드 줄리어스와 아르뎀 파타푸티안의 두 명의 미국인들이 받게 되었습니다.

 

스웨덴의 왕립 과학원 노벨위원회에서는 4일 미국의 캘리포니아대 샌프란시스코 캠퍼스의 생리학과 교수 데이비드 줄리어스와 함께 캘리포니아 라오야스 스크립스 연구소의 아르뎀 파타푸티안 교수를 2021년 노벨 생리의학상의 공동 수상자로 선정했다며 밝혔습니다.


노벨위원회에서는 열과 추위 그리고 촉각 등을 감지하는 능력은 생존에 필수적인 것이지만 이러한 감각을 당연하게 여겼다면서 이들의 획기적인 발견으로 인해서 인체의 신경계가 어떻게 열과 추위와 기계적인 자극을 감지하는 것인지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고 선정된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그리고 노벨위원회에서는 이어서 데이비드 줄리어스 교수와 아르뎀 파타푸티안 교수가 발견한 것을 토대로하여 만성 통증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질병 치료제의 개발 가능성을 열게 되었다고도 설명했습니다.

 


생리학자인 데이비드 줄리어스 교수는 1990년 후반부터 시작하여 통증과 온도 그리고 접촉에 반응할 수 있는 감각의 뉴런에서 발현이 되는 유전자를 연구해왔습니다.

 

데이비드 줄리어스 교수는 열에 반응을 하는 피부의 신경 말단에 있는 수용체를 확인하기 위해서 고추의 매운맛을 내는 유기 질소  화합물인 바로 캡사이신을 이용하여 캡사이신 수용체로 불리는 통증 수용체를 발견했습니다.

 

이 것을 통하여 통증의 수용체가 열에 반응하는 것과 똑같은 방식으로 하여 캡사이신에 반응한다는 사실을 알아내어 TRPV1이 통증의 치료에 활용할 수 있게 도움을 주었습니다.

 

분자생물학자인 파타푸티안 교수는 이후에 후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압력에 민감한 세포들을 사용하여 꼬집거나 만지는 기계적인 자극에도 반응하는 새로운 촉각 수용체의 센서를 발견했습니다.

 

서울아산병원의 신경과 김광국 교수는 데이비드 줄리어스 교수의 연구의 성과로 인하여 TRPV1의 이동 통로를 차단하여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과 같은 희소 통증 질환에서부터 일반 통증의 질환들까지 통증 치료제에 폭넓게 활용이 되고 있다며 설명했습니다. 

 

데이비드 줄리어스 교수는 뉴욕 출생으로 MIT를 졸업했다고 합니다. 말로만 듣던 MIT라니 정말 머리가 좋은가 봅니다. 그리고 그 후에 캘리포니아대의 버클리 캠퍼스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고 합니다.

 

아르뎀 파타푸티안 교수는 레바논계 미국인이며 UCLA를 졸업했다고합니다. 역시 머리가 좋은 사람들은 다르긴 한것 같습니다. 아르뎀 파타푸티안 교수 역시 UCLA를 졸업한 후에 캘리포니아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고 합니다.



매년 12월 10일에는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 열리던 노벨상 시상식이 올해에는 코로나의19의 유행으로 인해서 온라인으로 대체하게 된다고합니다.

 

노벨상 수상자에겐 1000만 크로나 우리나라 돈으로 13억 5000 만원이 지급이 된다고 합니다. 공동연구자인 데이비드 줄리어스와 아르뎀 파타푸티안은 상금을 절반씩 나눠 갖는다고 합니다. 따로 상금을 주면 좋았을 텐데 제가 다 아쉽습니다.

 

노벨상은 이날에 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하여 5일에는 물리학상을 6일에는 화학상, 7일에는 문학상, 8일에는 평화상, 11일에는 경제학상으로 차례대로 발표하게된다고합니다.



이렇게 많은 노력을 통해서 통증치료에 긍정적인 기여를 했다고 하니 너무 기대가 됩니다. 많은 분들이 이유도 모르는 통증으로 인해서 하루하루를 고통 속에서 살아가시는데 완치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도 하게 됩니다.

 

제가 통증으로 고통을 받고 있어서 그런지 이번 노벨상의 생리의학상에 선정된 두 분에게 너무 감사한 마음이 듭니다. 힘드시겠지만 더욱 연구에 매진하셔서 고통 속에 살고 계시는 분들에게 한 줄기 희망을 주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반응형

댓글